top of page

Critics

말 없이, 너와 나를 타고 넘으며, 깊고 먼 공간으로 _ 박수현(예술학, 미술비평)

숲 속을 연상시키는 미지의 공간. 이곳에는 여러 개의 지평선과 이질적 공간이 교차하며 식물은 뒤집히고 부유한다. 자연법칙을 따르지 않는다는 점에서 자연의 공간보다는 가상공간에 가깝다.가상공간은 현실을 초월하고 역사와 제도를 벗어난 공간이다. 인간 삶을 제한하는 외부적 힘, 육체와 의식의 한계로부터도 자유로운 무한한 세계이다. 

식물 형태가 가진 유동성에 기대어 작가는 자유롭게 그림을 구성한다. 식물의 각 부분을 해체하고 자연법칙이나 식물의 생태에 매이지 않는 유연한 방식으로 재조합한다. 인간의 현실과 자연으로부터도 벗어난 공간과 그 안에서 창조되고 생성되는 유기체들의 비정형적 형태. 이는 개인의 삶과 정체성을 규정하고 제한하는 현실에 대한 조용한 저항이자 자신을 얽매는 것들로부터 벗어난 자유로운 상태에 대한 모색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는 이를 불안과 공포를 자극하는 공격적인 방식이 아닌,식물의 모습을 빌린 평온한 방식으로 표현한다. 식물들은 서로 겹치고 얽혀있으며 때로 명확히 구별되지 않는다. 이 모습은 자아와 타자가 명백히 구분되고 나의 공간과 너의 공간이 분리되어 있는 인간의 몸과 마음, 그리고 멀어져버린 타인과의 거리를 생각하게 한다. 수많은 개체들이 몸을 부대끼며 공존하는 장면은 우리가 함께 기대고 어우러져 살아갔던 그 언젠가의 기억을 상기시킨다. 얽히고설킨 군상 안에서 한 부분 한 부분 세밀하고 생생하게 묘사된 식물들은 그 작고 연약한 존재들이 모두 동등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아직 건재함을, 생명의 힘을 발하고 있음을, 쉽게 스러지지 않음을 보여주는 듯하다. 이들은 작가 스스로의 투영이자 지금도 조용히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빛을 발하는 작은 존재들에 대한 고찰일 것이다. 이들은 자리를 벗어나지 않고 목소리를 높이지 않고 자신을 드러낸다. 

​작가는 어떠한 메시지나 의도를 전달하는 것에서 한 걸음 물러나 스스로의 내면에 집중한다. 타인의 평가와 기준, 넘쳐나는 정보와 지식으로부터 잠시 떠나 마음을 다독이듯, 식물을 심고 돌보듯, 섬세한 터치들을 겹치고 쌓아간다. 이러한 수행적인 행위는 보는 사람을 그의 자리에 초대한다. 선 하나하나에 머물렀을 시선을 따라 식물을 바라보며, 그 대기를 느끼며, 자신을 투영한다. 그림의 구성은 작가의 심리상태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작가는 과감한 화면분할과 역동적인 구도를 실험하기도 하고, 내러티브를 암시하는 형태와 강렬한 색채, 설치의 요소를 도입하기도 한다. 이러한 행적은 마침내 잔잔한 풍경에 다다른다. 맑고 다채로운 색감은 안정된 구도 안에서 자리잡으며 화사하고 몽환적인 느낌을 자아낸다. 새벽녘 모든 사물에 푸른빛이 깔리듯, 배경과 개체들은 같은 빛을 머금는다. 이들을 바라보며 현실과 규형을 잡고 내면의 평온을 가다듬는다. 침묵 속에 자신을 성찰하며, 또한 동시에 저 멀리 펼쳐진 지평선과 개방된 공간을 마주한다. 마치 새로운 곳으로 여행을 떠나듯, 삶과 작품의 새로운 지평선이 펼쳐지듯, 넓은 공간으로 열린다. 어떤 사건과 일들이 있을지 불투명하지만 그러기에 더욱 설레는 곳으로, 현실과 가상, 나와 너의 경계를 흐리며 나아간다.

Artist Statement

Artist Statement _ 작가노트 _ 손서현

나의 작업은 이제 삶의 위안이자 명상이 되었다. 작업을 하며 내재된 감정을 펼쳐내고 정제하고 위안을 받고 다시 일상의 삶으로 돌아온다. 평온한 나를 만드는 것이 살아내는 것이다. 마음속에서 부유하던 것들을 모아 만든 정원을 그려냄으로써 정신이 자유로워지고 평온한 내면의 공간을 찾기를 희망한다. 나는 흡사 가드닝을 하듯이 작품을 만들고 쌓아가는 과정에서 스스로를 다스리게 된다. 땅을 고르듯 색을 만들어 캔버스에 배경색을 칠한다. 묘목을 심듯이 순간순간 떠오르는 식물을 펜으로 그린다. 균형을 맞춰 식물들을 배열한다. 그리고 색을 겹겹이 입혀 생명을 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2012년부터 그려온 ‘공중정원’ 연작과 ‘gardening’ 연작은 마음의 위안을 주면서 사유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2015-2016년 '에메랄드 심' 연작은 삶의 단계에서 달라진 (결혼, 임신 등) 역할로부터 본인의 자아를 식물기둥에 빗대어 곧추 세우는 과정이었다.  2019년 ‘공중정원’ 연작부터 식물들의 조합에 공간을 더하였고, ‘Silentscape(2020-)’ 연작에서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과 맞물려 답답한 마음에 대한 해소로서 원근과 여백이 있는 공간을 더해 표현하였다. Silentscape#9에서는 이사 후 매일 창 밖으로 보이는 소나무가, Silentscape#10,11에서는 제주도 여행에서 마주한 삼나무 숲이 등장하였다. 이렇듯 상상으로 그리는 공간이지만 현실에서 마주한 순간들도 나의 가상공간으로 넘나들기도 한다. 

나는 외부의 상황에도 흔들리지 않는 고요의 풍경을그리고 그 속을 여행하는 유희를 즐긴다. 그렇기에 나의 작품은 심리적 풍경을 나타낸다. 

Article

Balancing_개인전(플레이스막) 전시서문 _ 구주희(플레이스막 큐레이터)

‘지상의 모든 인간들에게는 그를 기다리는 보물이 있어. 그런데 우리들, 인간의 마음은 그 보물에 대해서는 거의 얘기하지 않아. 사람들이 보물을 더 이상 찾으려 하지 않으니까 말이야. 그래서 어린 아이들에게만 얘기하지. 그리고는 인생이 각자의 운명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그들을 이끌어가도록 내버려두는 거야. 불행히도, 자기 앞에 그려진 자아의 신화와 행복의 길을 따라가는 사람은 거의 없어. 사람들 대부분 이 세상을 험난한 그 무엇이라고 생각하지. 그리고 바로 그 때문에 세상은 험난한 것으로 변하는 거야. 그래서 우리들 마음은 사람들에게 점점 더 낮은 소리로 말하지. 아예 침묵하지는 않지만 우리는 우리의 얘기가 사람들에게 들리지 않기를 원해. 그건 우리가 가르쳐준 길을 따라가지 않았다는 이유로 사람들이 고통스러워하는 걸 바라지 않는다는 뜻이지.’ 마음이 그에게 속삭였다.
“어째서 마음은 사람들에게 계속해서 자신의 꿈을 따라가야 한다고 말해주지 않는 거죠” 그는 연금술사에게 물었다.
“그럴경우,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마음이기 때문이지, 마음은 고통 받는 걸 좋아하지 않네.”
그날부터 그는 자신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는 마음에게 절대로 자신을 버리지 말아달라고 부탁했다. 자신이 꿈에서 멀어지려 하면, 자신의 가슴 속에 꽉 붙잡아두고 경적의 신호를 보내달라고 말했다. 그리고는 마음의 신호가 들릴 때마다 꿈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겠노라고 맹세했다.
                                                                   파올로 코엘료 –<연금술사> 중에서

나이를 먹고 어른이 되면서 우리는 사회로부터 뻔한 요구들을 받는다. 우리의 부모가, 그 이전 세대가 그러했듯이 어쩔 수 없음을 들며 수용한다. 그렇게 우리의 삶은 보편적인 수순을 밟아가면서 옆 사람 그리고 이전의 사람과 닮아간다. 안정된 삶의 추구는 적당한 의무와 책임에 집중하게 한다. 이는 사회적인 것으로 자발적인 개인의 욕구와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우리는 고민하게 된다. 이러한 고민이 멀게 느껴진다면 누가, 언제든 한 번쯤 해봤을 법한 질문을 하려 한다. “하고 싶은 걸 해야 할까? 아니면 잘 할 수 있는 것을 해야 할까” 청소년기부터 시작되는 이러한 질문은 우리 현실의 삶과 자신의 욕구 사이의 답 없음을 증명하듯 고민으로 이어진다. 사회생활을 거듭할수록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의 무게감에 우리의 욕구들은 지워져야 할 것이 되며, 발현되지 못한 욕구는 고여서 스스로를 고통스럽게 한다. 그리고 다시금 고민에 놓이게 한다.
작가는 사회로부터 주어지는 정형적인 규칙 때문에 자신의 삶 속에서 입지가 좁아지는 것에 불안감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삶의 변환점에서 이 문제는 더욱 더 큰 압력으로 작용하며, 현실의 삶에서 요구되어지는 마땅함과 자기욕구의 발현 사이에 관해 고민하게 되었다. 삶의 무게는 시대를 초월하고 인종을 초월해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으로, 마치 중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지구 위의 삶과 같은 것이다. 오늘날, 이러한 보편타당함은 신이 사라지고 계급이 사라져 모든 결말을 자신이 책임져야 하는 우리에게 큰 불안으로 작용한다.
작가는 이러한 삶의 무게로, 결코 발현되지 못하고 고여있는 욕구들을 생명력을 가진 식물로 치환하여 캔버스에 담아냈다. 여행 중 눈길을 사로잡은 식물들은 생뚱맞을 정도로 척박한 불모지에서 생명력을 드러낸 왜소한 것들이었다. 기억을 더듬어 하나씩 그려가면서 쌓아 올린 이질적 식물의 덩어리는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조합으로, 약한 명암 차이와 그림자의 부재로 더욱더 비현실적인 공간을 만들어내며 보는 이로 하여금 낯 설은 생명력으로 다가온다. 작가와 동일화 시킨 각각의 식물을 얇게 채색해 단숨에 캔버스에 그려낸 작업은 작가 스스로를 치유하고 위로하는 명상적 수행의 방식을 닮아있다. 그렇게 쌓여져 세워진 식물 기둥은 정성껏 가꾸고 보듬어진 정원이 되어 현실의 무게로 힘든 삶을 떠받친다. 가상의 공간에 만들어진 초현실적인 정원은 유토피아처럼 현실에 실재하지 않는다. 식물기둥은 작가의 무의식적인 그려내기를 통해 자신만의 형식과 공간을 만들어 낸다. 이렇게 만들어진 무중력의 공간은 현실에서 발현되지 못해 고여진 자신의 욕구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 삶의 공간으로 흐르게 한다. 이는 어떤 원동력이 되어 도전하는 삶의 확장을 가져오며 스스로를 견고하게 한다. 이를 통해 내면의 심상과 사회의 시선이 서로 소외되지 않는 균형을 유지한다. 복싱에서 밸런싱이란 말은 공격과 방어를 의미한다. 작가는 사회의 지친통념으로부터 자신을 지켜내는 무기를 균형이라는 나름의 질서로 선택한 것이며, 저자 역시 그 무기를 항상 필요로 한다.

바닷속에 가라 앉은 전설 속 사라진 대륙 아틀란티스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내가 고여 있는 그곳에 나만의 문명이 가라앉아 있고, 현실의 제약과 이상의 무게는 되려 균형의 힘으로써 그 유토피아를 건져 올리는 간절함으로 작용한다. 현실과 자아의 욕구에 팽팽한 긴장감 속에서 전설을 대신할 우리들만의 이야기가 이번 전시를 통해 펼쳐지기를 기대한다.

bottom of page